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훈민정음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대구 간송미술관 개관전

by idea4951 2025. 3. 29.

한글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인 한글은 단순한 문자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 시작점이 되는 '훈민정음해례본'이 대구 간송미술관에서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사랑의 여정

 

 

이번 개관전은 한국 문화재의 보고인 간송미술관이 대구에 첫 지방 분관을 열면서 마련한 특별한 전시입니다. 국보와 보물 등 간송 컬렉션의 정수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 놓치지 마세요.

 

훈민정음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

이번 전시의 백미는 단연 '훈민정음해례본'입니다. 1446년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의 원리와 발음 규칙을 담고 있는 이 국보급 문화재는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보물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이번 전시에서는 단순히 원본을 전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졌습니다.

 

소리로 지은 집

전시실 내부에서는 '훈민정음해례본'을 낭독하는 음성이 흘러나옵니다. 이는 현대 작가 송예슬 씨가 기획한 작품 '훈민정음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의 일부입니다. 작가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훈민정음해례본'을 소리의 형태로 재현하여, 관람객들이 문자 그 자체가 아닌 '소리'를 통해 한글의 본질을 경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간송미술관의 보물들

이번 개관전에서는 '훈민정음해례본' 외에도 간송미술관의 다양한 보물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신윤복의 '미인도'와 '월하정인', 그리고 청자상감운학문매병 등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이들 작품은 모두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로, 간송미술관이 오랜 세월 동안 수집하고 보존해온 소중한 유산들입니다.

 

간송미술관의 역사

간송미술관은 1943년 간송 전형필 선생이 설립한 한국 최초의 사립미술관입니다. 전 선생은 당시 막대한 금액을 들여 '훈민정음해례본'을 구입하는 등 문화재 수집에 힘써왔습니다. 이번 대구 분관 개관은 간송미술관이 서울에서 벗어나 지방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의미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구 간송미술관의 미래

대구 간송미술관은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발전해 나갈까요? 이번 개관전을 계기로 더 많은 관람객들이 한국 문화재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또한 간송미술관이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한국 문화예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어떤 점을 배우고 느끼셨나요? 또한 이러한 문화재 전시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주 묻는 질문

대구간송미술관 개관전 '여세동보'에 대해 알려주세요.

대구간송미술관 개관전 '여세동보'는 2024년 9월 3일부터 12월 1일까지 열리는 전시회입니다. 이 전시에는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국보와 보물 40건 97점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훈민정음 해례본'이 처음으로 서울 밖에서 전시되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대구간송미술관 3전시실에 전시된 '훈민정음 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은 어떤 전시인가요?

'훈민정음 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은 현대미술 작가와 함께 진행하는 특별 전시입니다. 이 전시에서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훈민정음 해례본'을 낭송하는 소리와 한글에 얽힌 이야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관람객들은 이 전시를 통해 '훈민정음'의 역사와 의미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대구간송미술관의 운영 시간과 휴관일은 어떻게 되나요?

대구간송미술관의 운영 시간은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입니다. 매주 월요일, 1월 1일, 음력 설날 및 추석 당일, 그리고 기타 시장이 정하는 휴관일에는 휴관합니다.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월요일 당일이 아닌 다음날 평일에 휴관합니다.

 

대구간송미술관 관람료는 어떻게 되나요?

대구간송미술관의 관람료는 성인(20세~64세)의 경우 6,000원, 어린이·청소년(7세~19세 이하)의 경우 3,000원입니다. 단, 국가유공자, 장애인, 경로우대자 등 할인 대상자에 대해서는 별도의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

 

대구간송미술관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을 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대구간송미술관 개관전 '여세동보'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또한 3전시실에 마련된 '훈민정음 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 전시에서는 '훈민정음 해례본'을 낭송하는 소리와 함께 다양한 현대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훈민정음'의 역사와 의미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